전체 글102 미국 10년치 재무제표 사이트 [stockrow.com] 미국 10년치 재무제표 stockrow.com 사이트는 기업의 재무 정보를 정리해두었으며 한국의 dart와 유사하게 공시 자료도 열람할 수 있다. 물론 야후, 네이버 금융, 영웅문S 글로벌 등의 서비스를 통해도 미국 재무제표를 확인할 수 있지만 5년치 밖에 볼 수 없다든가, 적어도 일주일 후에 올라온다든가, Raw 데이터가 아니라 자동화 적용을 하지 못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 사이트가 갖는 장점은 아래와 같다. 1. 시총 규모를 시각화 해서 보여준다. (회사 규모의 감을 잡기에 좋다.) 1위는 AAPL(애플), 2위는 MSFT(마이크로소프트)이며 그 아래 NVDA(NVIDIA), INTC(인텔) 등이 있다. 사각형의 크기로 보아 애플과 마소의 규모가 얼마나 큰 지 체감할 수 있다. 본격적인 기업 정보.. 2021. 4. 4. 주식 세금 정리 [국내, 해외] 국내 주식 세금 1. 배당 소득세: 15.4% 2. 증권 거래세: 0.08 ~ 0.43% 3. 양도 소득세: - 2023년 이전: 대주주에게만 부과 - 2023년 이후: 용어를 '금융투자 소득세' 1) 5000만원 이하: 비과세 2) 5000만원 ~ 3억 이하: 20% 3) 3억 초과: 25% *국세청 홈텍스를 이용하여 신고/납부 해야함. (양도 소득세가 상당히 많아졌다...) 4. 종합 소득세: 배당금 2000만원 이상인 경우 해외 주식 세금 1. 배당 소득세: 15.4% 2. 증권 거래세: 0.25% 3. 양도 소득세: *한 해에 매도한 해외 주식 전체의 이익과 손실을 합쳐서 - 250만원 이하: 비과세 - 250만원 이상: 22% *국세청 홈텍스를 이용하여 신고/납부 해야함. 4. 종합 소득세: 배.. 2021. 4. 1. 전기차의 벤츠가 되고 싶다는 '루시드 모터스' 전기차의 벤츠가 되고 싶은 '루시드' 루시드모터스는 2007년에 설립된 전기차 업체로 본사는 미국 캘리포니 아에 위치해 있다. 창업자는 테슬라 전 부사장인 버나드 체와 오라클 출신의 샘 웽이다. (테슬라 창업한 지 3년 만에 나와서 루시드모터스를 차렸던데...흠) "테슬라는 그래 혁신적이긴 한데 고급은 아니지~"라며 선을 긋고 "우리는 벤츠와 같은 럭셔리 브랜드가 될거야" 하고 있다. 전기차 부품에서 시작해서 완성차 까지 초기 사명은 아티에바(Atieva)로 전기차 배터리와 파워트레인 개발에 집중했었는데, 2016년 10월 사명을 루시드모터스로 변경하고 전기차 업체로 전환했다. 벤츠를 주요 경쟁사로 보고, 럭셔리 브랜드를 추구하고 있다. 직원은 현재 2천명 수준이고, 2022년말까지 미국에서 3천명을 추.. 2021. 3. 30. 일본 완성차 업체와 컨택하고 있는 애플 애플 제품들과 엮어보는 미래의 애플카 디자인 IT 전문매체 나인투파이브맥은 30일(현지시간) 자동차 비교사이트 리스펫처를 인용해 애플 자율주행 전기차 '애플카' 콘셉트를 공개했다. 현대 아이오닉과 애플 마우스 기아 쏘울 EV와 아이맥 프로 닛산 GT-R과 아이폰 12프로 토요타 수프라와 아이팟 클래식 이렇게 놓고 보니 역시 애플은 곡선 디자인을 참 잘 뽑는다. 고급스러우면서도 부드러운 느낌의 곡선이 제대로 느껴진다. 지난 2월 일본 경제전문매체 닛케이신문은 애플이 토요타를 포함해 다수의 일본 자동차 회사와 접촉 중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일본 내 6개 기업"과 전기차 생산 관련 협의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일본 완성차 업체 토요타와 닛산, 혼다, 미쓰비시, 마쯔다, 스바루.. 2021. 3. 30. 반도체 설계 Top 10 FYI https://n.news.naver.com/article/138/0002100727 작년 반도체 설계 '톱10'에 韓 없다…美 퀄컴 1위 탈환 - 미국·대만 기업이 주도…실리콘웍스 톱10 진입 기대 - 톱10 작년 매출 전년비 26.4%↑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반도체 설계(팹리스) 업체도 ‘슈퍼사이클’에 합류했다. 지난해 코로나19에도 n.news.naver.com 2021. 3. 27. 인텔은 정말 파운드리에서 희망을 보고 있는 걸까? 인텔의 파운더리 사업에 의문이 드는 이유 (by 이상훈 기자) 1. 인텔은 그간 개발 중심, 공급자 중심 업체로 반도체 시장에서 군림해왔다. 그런데 파운드리는 서비스업종이다. 과연 그 간극을 원만히 해결할 수 있을까? 2. 인텔은 자신의 칩을 직접 설계해서 자신의 팹에서 만든 절대 강자 반도체 업체였다. 그러기에 그들은 다른 팹 업체와 달리 자기들만의 'X86 IP'를 이용하여 반도체를 생산했다. 이 말은 즉슨, 다른 설계 업체들이 인텔에 반도체 설계를 요청하려면 'X86 IP'에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ARM IP'사용) 3. 인텔의 미세 공정 수준은 TSMC와 삼성전자에 밀린 지 오래다. 그런데 그들은 고부가 가치의 반도체를 생산하겠다고 예측하고 있다. 구글, 퀄컴, 마소 등의 업체들이.. 2021. 3. 27. 현재 차량용 반도체 기술은 어떠한 가? 차량용 반도체의 주요 기능별 비중 지난 포스팅에서 차세대 기술을 이끌 반도체는 자율 주행차의 반도체라고 추측하였다. 현재는 차량용 반도체로 어떤 반도체들이 쓰이고 있는 지 살펴보려 한다. - MCU: 30% - 아날로드 회로: 29% - 각종 센서: 17% - 자동차용 AP: 10% 아직은 내가 대학 시절 RC카 만들어 조정하던 구성으로 반도체가 쓰이는 듯하다. 각종 전자 센서를 제어하는 MCU가 가장 큰 비중인 걸보니.. 카메라 이미지를 분석하여 자동차 제어를 하는 것보단 전자 센서로 신호를 받아 경고 정도의 판단을 내려주는 것으로 보인다. 현재는 전자 기기를 제어하는 반도체가 200~400개 정도, 아이오닉5 같은 최신 전기차는 500개 정도라고 한다. 앞으로 자율 주행 기능이 더 확대되면 2000개.. 2021. 3. 25. BOE의 무서운 성장.. LCD에 이어 OLED까지 강자로..? LCD 세계 1위 기업, BOE BOE는 중국 내 가장 큰 디스플레이 생산 업체이며, 지금까지 대부분 중국 자국 폰의 디스플레이만 생산했었다. 말그대로 애플과 삼성폰까지는 주문을 받지 못했던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현재 애플과 삼성폰에는 모두 OLED가 사용되며, 애플은 Flexible OLED만 삼성은 Rigid 60%, Flexible 40% 비중으로 적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수요는 삼성 디스플레이, LG 디스플레이가 수주를 받아 생산했었다. 그러나 이젠 BOE의 OLED 생산 기술이 무섭도록 치고 올라왔다. 먼저, 작년 말 애플로부터 Flexible OLED 납품 승인을 받았으며 올 하반기에는 삼성으로부터 M 시리즈 일부를 수주 받을 예정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의 6세대 Flexibl.. 2021. 3. 25. 이전 1 ··· 9 10 11 12 13 다음